중점과제 01

함께 성장하는 우리, 학교를 이어주는 다함·더함 프로젝트

 

추진 목적
  • 학교 수요자의 요구와 지역실정에 맞는 맞춤형 교육과정 편성 및 지역연계 프로그램 구안
  • 학생의 미래 핵심역량 성장 지원을 위한 교실 수업의 교육과정-수업-평가의 선순환적 연계성 강화
  • 수업혁신을 위한 집단 지성의 발현으로 교원의 자발적이고 협력적인 수업 나눔 문화정착


추진 방향
  • 교육공동체가 함께 만드는 교육과정
구분 운영 내용
유치원 ⚬ 지역 유아교육 협력 네트워크 운영
⚬ 지역 특성을 반영한 놀이 환경 사례 및 놀이 운영 사례 공유
⚬ 유아와 부모가 행복한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놀이 워크샵, 학부모 놀이교실 운영
⚬ 유치원 미래교육 구축 지원을 위한 미래교육지원단 운영
초등학교 ⚬ 대면-비대면 병행 블렌디드 수업을 위한 원격수업 지원 플랫폼 운영
 - 남부초등더함 https://www.edwith.org/ptnr/snbestooc 플랫폼 활성화
⚬ 초1,2 안정과 성장 맞춤 교육과정 편성·운영 지원
 - 배움이 재미있는 교육과정, 성장과 발달을 돕는 과정 중심 평가 운영
 - 「꿈잼 교실(네트워크)」 운영 예산 지원 및 ‘꿈잼’ 운영교사 역량강화를 위한
현장지원단 구성·운영을 통한 컨설팅 및 워크숍 지원
⚬ 초3~6 창의공감 교육과정 운영 지원
 - 학생참여 선택활동, 협력적 프로젝트 수업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 지원을 위한 연수
 - 「우리가 꿈꾸는 교실」학급 운영비 지원 및 ‘꿈실’ 운영교사 교육역량강화를 위한 현장지원단 구성·운영을 통한 컨설팅 및 워크숍 지원
⚬ 교육과정-수업-평가 연계 과정중심평가 중점 연수 개설 운영
⚬ 지역 전체를 교육장소로 활용하는 마을결합형교육과정 운영 지원
 - 마을결합형교육과정 핵심학년(초3) 집중 지원
 - 마을과 함께 만드는 초3 사회과 마을교과서·마을자원자료집 제작·보급
 - 마을탐방 교원연수 및 마을결합형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교원학습공동체 지원
중학교 ⚬ 학교특색을 반영한 유연한 교육과정 편성・운영
⚬ 중학교 1학년 자유학기 활동 내실화
 - 신입생 학교생활 적응 프로그램으로 ‘기초와 적응’활동 운영 지원
 - 중-고등학교 전환기(3학년 2학기 학기말 고사 이후)에 미니자유학기 프로그램 운영 지원
⚬ 자유학년제 안착 지원
⚬ 다문화교육을 위한 주제선택 과목 지원
⚬ 학교스포츠클럽활동 및 협력종합예술활동을 통한 문화·예술·체육교육 강화
고등학교 ⚬ 학생 과목 선택권 확대를 통한 교육과정 다양화 및 내실화
⚬ 학생 수요를 반영한 학점제형 교육과정 도입 준비
⚬ 학생참여형 수업혁신 및 교육과정·진로·진학 전문가로서의 교원 역량 강화

  • 학교 안팎에서 만나는 교수 학습을 위한 교원학습공동체
구 분 운영 내용
학교 안
교원학습 공동체
⚬ 교과간 수업자료 개발로 동료장학 활성화 및 교실수업혁신
⚬ 과정중심 평가 운영으로 교실수업의 내실화 및 공교육 정상화에 기여
⚬ 교육과정, 수업혁신, 평가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변화 모색
⚬ (초등) 「꿈잼 교실(네트워크)」「꿈실 학습공동체」운영으로 교실혁신 및 성장하는 교사 지원
학교 간
교원학습 공동체
⚬ 수업자료 공개와 일반화로 타 학교에서 서로 벤치마킹할 수 있는 기회 부여
⚬ 지역사회 인적·물적 자원 연계
활성화 지원 ⚬ 단위학교 워크숍 운영의 정례화와 예산 지원
⚬ 직무연수 시간으로 인정 추진, 행정적 절차 간소화
⚬ 리더 교사 양성 계획-씨앗교사 지원

  • 남부 함께 성장하는 우리, 가르치고 배우는 다함·더함 프로젝트 수업나눔
구 분 운영 내용
수업·평가
혁신 기반조성
⚬ 신학년 집중 준비기간 운영
 - [학년] 신학년 집중준비기간 계획 수립
 - [교육지원청] 신학년 집중준비기간 운영 지원
⚬ 수업나눔 카페 구축
⚬ 수업나눔 카페를 통한 자율적 수업나눔 분위기 확산
⚬ (초등) 효율적인 지식 공유 플랫폼「남부초등더함」운영
교원 역량
성장 지원
⚬ (초등) 교육과정 컨설팅단, 「꿈잼·꿈실 현장지원단」운영
 - 교육과정–수업–평가 연계 지원을 위한 지구별 교육과정 컨설팅 네트워크 구축
 - 학생 중심 수업 개선 연구, 실행 지원을 위한 지구별 현장지원단 구성
⚬ (중등) 수업·평가 나눔 교사단 운영
 - 교사단 연구분임의 수업혁신 연구 및 수업나눔
⚬ 수업성찰과 수업혁신 문화 확산을 위한 수업코칭 프로그램 운영
⚬ 수요자 맞춤형 과정 중심 평가 연수
⚬ 교원 성장 수업코칭 전문단 구성
수업·평가
나눔 확산
⚬ 수업·평가혁신 네트워크 운영 및 결과 활용
 - 수업·평가 나눔 교사단 공유마당 실시
 - 수업·평가 나눔 교사단 자료집 개발
⚬ 수업·평가 교원학습공동체 활성화 지원

  • 2022년 고교학점제 선도지구, 미래교육을 주도하는 남부 이음 캠퍼스
구 분 운영 내용
교육협력센터 운영 ⚬ 고교학점제 선도지구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및 운영
⚬ 지역기관 연계 협의체 및 네트워크 구축 운영
⚬ 컨설팅 지원단 운영: 학교 내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지원
지역 공동체 간
협력체제 구축
⚬ 고등학교 지구별 교장(감) 학습공동체 조직·운영
⚬ 기관 네트워크 조직·운영
참여 학교의
학점제형 교육과정
운영 역량 강화
⚬ 학교 간 협력을 통한 온/오프라인 공동교육과정 개설·운영
⚬ 교원의 교육과정 운영 및 지도 역량 강화 지원
⚬ 강사 인력풀 지원을 통한 학교교육활동 지원
지역 연계
교육프로그램
개발 및 운영
⚬ 대학 연계 교육과정 개발·운영
⚬ 특성화고·특목고 연계 교육과정 개발·운영
⚬ 마을자원을 활용한 창의적체험활동 및 특색 프로그램 발굴·지원
⚬ 대안교실, 직업체험 프로그램 발굴·지원
고교학점제
선도지구
홍보·소통
⚬ 고교학점제(선도지구) 홍보
⚬ 중학생 및 학부모 대상 연수 운영